[국토매일=장병극 기자] 2020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는 총 18개 기관 및 기업(공동 부스 포함)에서 전시부스를 마련했다. 기관에서는 중소기업과 협업해 개발한 연구개발 성과를 비롯해 스마트 뉴딜 정책에 부합하는 철도 신기술을 선보였다. 또한 기업에서도 토목, 신호, 시스템엔지니어링, 인증검사 및 IoT 등과 결합한 각종 안전장치, 측정·계측 기술 등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하 부스번호 순)
국가철도공단= 지난해에 이어 ▲한국판 뉴딜 가상현실(VR) 철도건설 안전교육 컨텐츠 ▲VR을 활용한 전기철도 시공기술교육 컨텐츠 등 가상현실을 활용한 현장체험형 안전교육 모델을 선보이며, 철도 건설 현장에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음을 홍보했다. 또한 ▲철도구조물 뒤채움 유동화 재료 활용기술 개발 연구 ▲철근대체 유리섬유 보강근(GFRP) 적용 도상슬래브 개발 ▲IEC 61850 기반 GIS 현장조작반 반도체형 제어릴레이 Kit ▲전차선 및 조가선 연구신장조성 최적화 연구 ▲ AT기능형 상분리 스코트결선 급전 주변압기의 기술 분석 등도 소개했다.
호승이엔씨= 계측시스템 구축 분야에서 오랜 기간 축적한 기술력과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레일 침하를 측정, 수시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도상침하계(RMS-15) ▲자동계측시스템 소프트웨어 ▲라이다(LiDAR)를 이용한 내공변위 측정 시스템 ▲스마트폰을 이용한 측정 및 계측관리 ▲실시간 구조물 변위 디스플레이 시스템 등을 소개했다. 호승이엔씨의 도상침하계(RAM-15)는 실제 철도 건설·개량사업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레일에 직접 종·횡 변위계를 설치·고정해 침목 손상없이 여러 개의 센서를 1개의 통신케이블로 묶어 측정·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련기사 : [현장르포] 금정고가교 개량, 첨단 인상(引上)공법 적용 “열차 다닐 때도 작업” / 11월 9일자)
리뉴시스템= 구조물 방수전문기업으로 지난 2013년에는 '세계 최초 폐고무를 활용한 비경화 1액형 점착 도막방수재 제조기술'이 대한민국 10대 신기술로 선정됐다. ▲합벽 방수공법 ▲옥상녹화 방근·방수공법(국토부 지정 신기술 560호) ▲온통GTR방수공법(국토부 신기술 740호) ▲방수층 재형성공법(건설부 신기술 376호) 등 다양한 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안전운영팀= 오송에 소재한 철도종합시험선로 시설물, 시험항목 및 사용료 등을 소개했다. 특히 국토부·국가철도공단과 협의를 통해 시험선로 'AC전철변전소 개선공사'를 수행하고 절감된 전력기본료를 반영, 시험선로 활용도 증대 및 신청자 시험선로 사용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달 20일부터 시험선로 사용료를 인하하고 있음을 적극 홍보했다. 이번 인하 조치로 하루 1천 427만 4000원이던 사용료가 921만 270원 수준으로 낮아졌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중소기업지원팀= 철도연과 중소기업이 협업해 개발한 제품 중 주요 성과를 한 자리에 모아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유리섬유복합체 보강근을 활용한 고성능 RC 침목 개발(태명실업) ▲철도차량 비석면 합성제동패드(은성엔지니어링) ▲모듈형 발열 패널(지안씨엔에스)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기반 전류비 다중설정 전차선로 고장점 표정장치(공항철도, 인텍전기전자) ▲무접점 전자화 NS-AM형 선로전환기(서울교통공사, 에스트랜스포트) ▲대구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안전문 전자잠금장치(대구도시철도공사, 에스티이엔) ▲도시철도 PSD 연계 닫힘시간 안내표시 장치 고도화(제이브이지) 등 7건의 성과를 소개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경원기계공업 공동= 경원기계공업은 1968년에 창사한 이후 국내 공기압축기 분야를 선도해온 기업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광주도시철도공사 등과 공동 연구·개발에 실차 검증까지 마친 도시철도차량용 직결형 오일프리 스크롤 압축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공동 개발해 우진산전이 생산하는 전기버스 및 경량전철시험선(철도연) 등에서 실차 검증을 마친 초경량·저소음·저진동 오일프리 스크롤 제동장치 모듈을 소개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블루모바일 / 부산교통공사 공동= 철도역사에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기술개발 성과로 ▲스마트폰 및 스마트 중계기를 활용한 시각장애인용 음성유도기 ▲부산 1호선 시청역에서 실증시험까지 진행한 스마트점자블럭을 이용한 철도역사 교통약자 모빌리티 향상기술을 소개했다.
티유브이 라인란드 코리아= 철도시스템 안전 확보를 위해 국제규격에 따라 수명주기에 걸쳐 수행돼야하는 제품인증 및 평가 등을 수행하는 검사·인증 기업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철도 독립안전성평가(ISA), SIL, RAMS, 소프트웨어보증 TSI, IRIS(ISO/TS 22163), 위험도 분석 등 철도분야 제공 주요 서비스를 소개했다.
한국철도(코레일)= 철도 운영·관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연구·개발해 실용화 달성률이 높은 한국철도(코레일)에서는 차량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부품과 장치를 비롯해 '스마트 철도 안전관리 통합플랫폼'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우선 고속차량과 관련해서는 ▲고속철도 부품장치 인터페이스 호환성 및 적합성 검증 연구 ▲동력집중식 고속철도용 표준호환형 고성능 제동유연패드 및 제동슈 기술 ▲동력분산식 고속철도용 고내구성 감속기 기술 ▲고속철도용 5MVA급 전력부하 불평형 개선 능동령 밸런서 기술 개발 등을 전시했다. 이 기술들은 한국철도 등 18개 기관·기업이 참여해 오는 2022년까지 총 249억 원을 투입하는 '고속철도 부품장치 국산화 기술개발 연구단' 세부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진행 중이며 이번 학술대회에서 특별세션을 통해 별도로 연구성과가 소개됐다.
스마트 철도 안전관리 통합플랫폼은 인력중심으로 운영되고 서로 분산됐던 기존의 유지·보수체계를 첨단 IoT기술,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하나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속검측차·종합검측차·드론을 이용하고 영업열차에도 검측시스템을 탑재해 실시간으로 레일, 전차선 등 철도시설물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설, 전기 등 전 분야에 IT기반 원격검측 및 상태기반 정비시스템을 구축해 체계적으로 차량 운영 및 시설물 유지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일원화해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SKD HI-TEC(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루프식 스크린도어(RSD, Rope Sreen Door) 기술을 개발, 불가리아 수출까지 성공한 기업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도시·광역철도를 중심으로 좌-우 개폐식 스크린도어를 채택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상-하 개폐식인 RSD의 경우 열차 문 위치, 개수 등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차종 열차 승강장에서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지난 8월에는 불가피아 소피아 지하철에 정식 설치, 가동을 시작하는 등 차별화된 RSD 시스템으로 전세계 스크린도어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번 전시에서는 불가피아 소피아 지하철에 설치한 RSD를 영상으로 소개했다.
우경건설= 철도교량을 비롯한 구조물 시공 전문기업이다. ▲컴퓨터 다지점 교량인상 시스템 ▲PIP잔교 ▲바닥판 일체형 PSC Box 거더 철도교(Super T Girder) ▲철도교 PSC e-Beam ▲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ECO터널 갱구부 공법 등을 홍보했다.
싸이러스= 소음·진동 관련 제품판매를 비롯해 연구개발 및 엔지니어링 컨설팅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진동 가진기 컨트롤 시스템, 소음·진동 측정 및 모달분석 시스템, 진동 가속도 센서, 음향카메라, 진동·충격·흠향 교정시스템, APS 저주파가진기, 모니터링시스템-CODA, CAE소프트웨어-FEMToos, 마이크로폰, 풍력센서 등 미국·독일·노르웨이·벨기에 등에서 사용 중인 장비를 소개했다.
에이스트로닉스= 지난해에 이어 SIL4 인증 신호시스템을 소개했다. 특히, ATP·ATC·ATS·ATO 통합형 차상신호 장치가 내년 말 목표로 SIL4 GA 인증을 수행 중임을 적극 홍보했다. 이번에 선보인 통합형 차상신호장치는 수요처 맞춤형 수신부 제작·검증으르 통한 SA 인증을 획득할 수 있고, 기존 SIL4 GP인증 제품에 기반해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차후 LTE-R 무선통신 기반 KTCS-M, KTCS-2 등차상신호장치와 호환 및 확장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 국토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철도학회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