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창조경제와 창조건설, 그 중심의 친환경 건설기술

특허청 김용준 건설기술심사과장 | 기사입력 2013/09/10 [10:32]

창조경제와 창조건설, 그 중심의 친환경 건설기술

특허청 김용준 건설기술심사과장 | 입력 : 2013/09/10 [10:32]
▲ 특허청 김용준 건설기술심사과장     © 국토매일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기조는 ‘창조경제’이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를 “과학기술과 산업이 융합하고, 문화와 산업이 융합하고, 산업 간의 벽을 허문 경계선에 꽃을 피우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렇다면 건설산업에서의 ‘창조’란 무엇이고 그 중심에는 무엇이 있어야 할까? 2천년대 들어 그 중후반까지 세계 건설산업의 키워드는 초고층이었다.
 
세계 각국에서는 경쟁적으로 초고층 건물을 기획ㆍ설계하였으며, 현존하는 최고 높이의 건물인 Burj Khalifa(UAE)도 이 시기에 국내 건설사가 참여해 완공되었지만 세계 경제악화로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초고층 건설은 예정되었던 계획이 취소되는 등 이전에 비해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고 건설산업에서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바탕으로 하는 친환경 건설기술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친환경 건설기술의 여러 가지 개념 중에 가장 기본적인 것은 최소한의 건축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목적물을 구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강도 철근 및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은 재료의 효율성을 높여 친환경적 건설을 하고자 하는 취지로 볼 수 있다.
 
2012년 개정된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는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최대값을 기존 550MPa에서 600MPa로 상향 조정하였고, 압축강도가 250MPa에 달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국내에서 개발되기도 했다.
 
장수명 건물을 위한 기술도 친환경 건설기술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100년 가는 장수명 아파트 건설을 위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거주자의 기호에 맞게 평면을 바꿀 수 있고, 배관 등의 유지보수를 쉽게 하여, 건물의 물리적 수명이 다하기 전에 사회적ㆍ기능적 수명이 다하여 재건축을 해야 하는 불합리한 상황을 없애고자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와 관련해 평면 가변성을 높이기 위해 기둥식 구조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기술, 유지보수가 쉬운 배관 및 배수트랩 등에 관한 기술 등이 꾸준히 특허출원되고 있다.
 
건설산업은 기술의 발전 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에도 매우 큰 영향을 받는 산업분야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기술발전동향과 더불어 정책적 추진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친환경 건설기술은 넓은 의미에서 거주자의 최적 사용성(serviceability) 확보를 위한 기술로까지도 그 개념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획 예정 건물의 주변지형 및 인접건물 등의 상황을 모두 포함한 모델링을 대상으로 바람의 영향을 시뮬레이션하여 거주자나 근처의 보행자가 느끼는 쾌적함이나 불쾌함을 사전에 예측하여 건물설계에 반영하는 풍환경실험 관련 기술도 친환경 건설기술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건설산업은 과거 1970~80년대 중동건설 붐에서와 같이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출발해 현재 대형 해외 원전 수주를 달성하는 등 괄목할만하게 성장하여 이제 단순 시공에서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 능력에서도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친환경 건설기술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한 범위를 포괄하며,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등과 융합하여 더욱 새로운 혁신과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개념이다.
 
창조경제의 한 축으로서의 창조건설은 ‘친환경’이라는 범인류적이고 시대적인 과제에 대하여 다양한 첨단분야의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건설산업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으리라 본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