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기고] 이영수 한국첨단안전산업협회 회장

‘스마트시티’의 가치, ‘안전’으로 결정된다

국토매일 | 기사입력 2018/01/23 [10:40]

[기고] 이영수 한국첨단안전산업협회 회장

‘스마트시티’의 가치, ‘안전’으로 결정된다

국토매일 | 입력 : 2018/01/23 [10:40]

[국토매일]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국토가 아름답고 대지가 비옥하여 주변 외세의 빈번한 침략을 받았다. 이는 역으로 생각해볼 때 사람이 살기 좋은 곳, 외부에서 바라볼 때 욕심나서 빼앗고 싶은 나라라는 간접적인 증거이기도 하다.


급격한 산업발전으로 미세먼지와, 황사 등으로 온전한 하늘색을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최근에는 일본에서나 있을법한 대규모 지진 발생으로 수많은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재난에 대해 불가항력적인 지구의 기후환경변화로만 넘기기엔 다시 한번 고민 해볼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도시인구는 전국 토지면적의 16.6%인 도시지역에 인구 91.82%가 거주하고 있고, 총인구 5,170만여 명중 약 4,747만여 명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국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도시지역’을 표현할 때, 과거에는 교통·주거·미적계획이 잘 정돈된 곳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며, 물론 지금도 이 평가방법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젠 도시의 가치 척도가 단순 편리와 미관만이 전부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시대에 도래되고 있음을 우리는 직시해야할 것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할 때 “땅도 넓고 평평하여 도시를 만들기에 적절하고, 우리 백성이 살기에 알맞은 곳”이라고 정도전에 말해 조선 500년의 역사가 시작됐다.


최근 발생한 경주, 포항 지진을 보더라도 해당 지역 외 국민은 아직 2차적 위험에 대한 ‘안전’ 의식에 대해 아직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실상 현지 주민들만이 안전에 대한 불안감과 추가적 필요 조치에 대해 정부에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웬만한 지진에는 쉽게 무너지지 않는 도시설계로 안전한 국가, 안전한 도시라는 이름으로 우리를 감탄 시키곤 한다.


하지만 안전과 도시라는 말은 일본에 국한된 말이 아니다. 우리도 더 이상 미루지 말고 그 중요성을 인지해 우리 실정에 맞는 안전도시설계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


우리 국민은 평상시에는 안전에 대한 관심이 없다가 사회적으로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정부 또한 임시방편적인 지원을 펼쳐 그 사회적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음에 정책적 많은 아쉬움이 있다고 본다.


이에 대응키 위해 한국첨단안전산업협회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시하는 ‘스마트 안전도시 플랫폼 구축’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과거 도시는 안전을 무시한 기능적·미적·편리성만을 중시하였으나 이제는 도시안전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 센서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이를 스마트안전도시 구축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두 번째로 이런 다양한 첨단 안전기술을 플랫폼화하여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는 데 올 한해 전력하도록 할 것이다.


2018년 무술년 새해에는 한국첨단안전산업협회가 대한민국 ‘안전 지킴이’ 역할을 수행하고 전 회원사와 함께 만들어 나가도록 할 것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