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환경부, 2015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5만 3732톤…전년대비 0.97% 감소

자일렌,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이 전체의 62% 차지

변완영 기자 | 기사입력 2017/07/28 [16:10]

환경부, 2015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5만 3732톤…전년대비 0.97% 감소

자일렌,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이 전체의 62% 차지

변완영 기자 | 입력 : 2017/07/28 [16:10]
▲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 추이     © 국토매일


[국토매일-변완영 기자] 환경부는 ‘2015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결과 전국 3634개 사업장에서 215종 5만 3732톤의 화학물질이 대기, 수질 등 환경으로 배출되었다고 밝혔다.

   

전년(2014년)도와 비교하면, 업체수와 화학물질 취급량은 각각 110개(3,524개→3,634개소), 850만톤(1억 6,361만 8천톤→1억 7,212만톤)이 증가했으나, 배출량 및 배출률은 529톤(5만 4,261톤→5만 3732톤) 및 0.002% 감소(0.0332%→0.0312%)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은 대기로 5만 3,486톤(99.5%), 수계로 246톤(0.5%)이 배출됐으며, 대기 배출량 중 대기오염방지시설 등 점오염원으로 2만 1662톤(40.4%), 제조시설 틈새 등 비산오염원으로 3만 1824톤(59.5%)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 배출량 상위 10개 화학물질     © 국토매일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결과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물질별로는 자일렌(31.4%), 톨루엔(15.3%), 아세트산에틸(8%), 메틸에틸케톤(7.3%) 등 4개 화학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62%를 차지했다.

 

자일렌과 톨루엔의 경우 각각 1만 7,661톤(2014년)→1만 6,857톤(2015년), 8,538톤(2014년)→8,225톤(2015년)으로 전년대비 4.6%, 3.7% 감소한 반면, 아세트산에틸과 메틸에틸케톤은 각각 4,222톤(2014년)→4,311톤(2015년), 3,422톤(2014)→3,903톤(2015)으로 전년대비 2.1%와 1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분류한 벤젠 등 그룹1 발암물질 12종의 경우 전체 배출량의 2.1%에 해당하는 1,135톤이 배출되어 전년 1,064톤 대비 6.7%가 증가했다.

     

▲ 발암물질 취급․배출량 추이(2008~2015)     © 국토매일

 

특히, 12종의 그룹1 발암물질 중 트리클로로에틸렌, 벤젠, 염화비닐이 90%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33.4%),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14.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9.2%),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9.2%) 등 4개 업종에서 전체 배출량의 65.9%인 3만 5,398톤이 배출됐다.

 

배출량이 높은 업종인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조사 사업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66개 사업장, 전체사업장의 1.8%)에도 불구하고 전체 배출량의 33.4%를 차지했다.

 

이는 코팅․열처리공정에서 분사(spray)와 자연․열처리건조 방식의 작업형태로 화학물질 배출률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 업종별 배출량     © 국토매일



또한,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등 16개 업종은 생산량 증대, 공장 증설 등으로 배출량이 증가했고,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과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등 18개 업종은 선박 건조량 감소, 생산량 감소 등으로 배출량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2014년도 조사 결과처럼 경기(1만 1,547톤, 21.5%), 경남(8,742톤, 16.3%), 울산(8,107톤, 15.1%)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3개 지역에서 전체 배출량의 52.9%인 2만 8,396톤이 배출되었다.

 

경기도는 사업장 수가 909개로 조사대상 전체 사업장의 25%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화학물질이 다량 배출되었고, 경남도는 강선건조업, 울산시는 대규모 산업단지에서 다량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전북 등 6개 지역은 배출량이 증가했고 경기, 경남, 울산 등 11개 지역은 배출량이 감소했다.

 

정환진 환경부 화학안전과장은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위해 산업계와 자발적 협약(30/50프로그램, 2004년∼2010년)과 배출저감 스마트(SMART) 프로그램(2012년∼현재)을 운영하고 있다”며 “배출량 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업장 대상 배출량 산정 교육, 공정별 배출원인 진단 및 맞춤형 기술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