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철도안전정책 토론회 성황… 4차 산업 철도 방향 모색

“4차 산업 첨단기술… 철도 산업 융·복합 나서야”

조영관 기자 | 기사입력 2017/07/25 [18:52]

철도안전정책 토론회 성황… 4차 산업 철도 방향 모색

“4차 산업 첨단기술… 철도 산업 융·복합 나서야”

조영관 기자 | 입력 : 2017/07/25 [18:52]

 

철도안전기술자 양성·형식승인 개선 의견도 쏟아져

 

▲ 24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 모습. 4차 산업과 철도라는 주제에 걸맞게 이날 토론자들의 의견은 철도 산업에 있어 첨단기술을 활용한 산업 간 융·복합을 가장 중요한 방향으로 제시했다.                      © 국토매일

 

[국토매일-조영관 기자] 이우현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국토매일신문이 공동 주관한  ‘제4차 산업시대 철도안전 정책방안 토론회’가 지난 24일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국토교통부의 후원으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회의실에서 국회와 정부를 비롯해 산·학·연 등의 철도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우현 의원은 환영사에서 “국민들이 철도를 마음 놓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정보통신기술, 빅 데이터 등 4차 산업의 첨단기술을 이용한 안전체계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맹성규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철도 안전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이용한 첨단화를 지향해야 한다”면서 “빅 데이터 분석, RAMS 등 과학적 관리, 무인운전과 실시간 관제 등 새로운 철도환경에 맞는 철도 안전 전문 인력도 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부로 나뉘어 진행된 토론회는 1부에서 개회사와 축사에 이어 2부에서는 박건수 국토교통부 철도안전정책과장의 ‘철도안전정책 동향’과 곽상록 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의 ‘4차 산업시대 철도안전 발전 방향’ 주제 발표가 있었다.

 

이후 3부에서는 양근율 철도기술연구원 부원장을 좌장으로 정부·학계·운영사·산업계를 대표하는 8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회에서는 ‘철도안전법 적용에 따른 제도개선 방안’과 ‘4차 산업 시대 철도 산업이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 활발한 의견이 오갔다.

 

4차 산업과 철도라는 주제에 걸맞게 이날 토론자들의 의견은 철도 산업에 있어 첨단기술을 활용한 산업 간 융·복합을 가장 중요한 방향으로 제시했다. 먼저 양근율 철도기술연구원 부원장은 “철도 산업의 특징은 굉장히 융·복합적인 것”이라며 운을 뗐다.

 

양근율 원장은 “결국 4차 산업의 기술들을 이용해 다른 산업과의 연결을 통한 ‘스마트한 철도’를 만드는 것이 숙제”라고 강조했다.

 

구정서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4차 산업의 지능형 기술을 철도에 접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 교수는 “사고 제로화를 위해서는 많은 투자가 있어야 하고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등의 기술 자원들을 잘 관리하면 철도 산업뿐만 아니라 세계 1등 안전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와 산업계 사이에서 철도를 관리하고 있는 운영사는 철도산업의 현실을 진단하고 첨단기술 활용사례를 들었다. 박동섭 코레일 단장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서 “코레일에서도 ICT와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여러 가지 혁신 사례들을 시행 중”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은 과거의 인력중심에서 벗어나 첨단장비를 활용해 인력을 줄이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단장은 그러면서 특정 차종에 한정해 정비사 자격을 부여하면 인력운영의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며 차량정비자격제도의 개선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기술들이 다양하고 급변하는 상황에서 단일 차종을 정비하는 정비사보다는 다양한 차종을 정비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진환 서울교통공사 처장은 빅 데이터를 활용한 위험 요인 분석 기반 마련과 철도의 수명주기 관점의 관리를 위한 SE(Systems Engineering) 도입을 제시했다. 조진환 처장은 “미국에서 2030년에는 시스템 엔지니어가 가장 유망한 직업으로 분류된다”며 “모든 철도는 차량과 8개의 시스템이 정교하게 연결돼 운행되는 만큼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 수명주기 관점으로 관리하려면 SE 기법 도입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 토론회에서는 중소 철도부품 제조사 육성 등 4차 산업을 토대로 한 국내 철도 산업의 미래를 준비하는 내용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 국토매일

 

이날 토론회에서 학계와 정부, 운영사와 산업계를 대표하는 8명의 토론자들은 ‘4차 산업 첨단기술 철도산업 도입’이라는 ‘대주제’에는 서로 궤를 같이 했지만, 형식승인과 관련해 안전과 비용의 상관 관계라는 ‘소주제’에 대해서는 상이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산업계를 대표하는 4명의 토론자들은 형식승인과 철도안전기술자 양성에 대한 제도 개선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기도 했다.

 

먼저 안낙균 전기철도기술협력회장이 포문을 열었다. 안낙균 회장은 “현장에서 안전을 관리하고 있는 기술자들에 대한 기술능력을 관리해줄 수 있는 제도 법제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구체적으로 제도화가 되지 않으면 철도안전의 가장 근간이 되는 인력수급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덕규 (주)다원시스 상무는 형식승인 제도과 현실의 괴리를 꼬집었다. 이덕규 상무는 “예비주행시험요건 중 본선 시운전의 경우 지하철 구간의 상대적인 특성, 운영 노선 등을 검토해 실정에 맞는 법제도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종덕 철도기술연구원 실장은 “수정할 부분도 있겠지만 근본적인 취지는 본선에서 사고가 많이 나고 기본적인 세팅도 안 돼 있기 때문에 이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토론회에서는 중소 철도부품 제조사 육성 등 4차 산업을 토대로 한 국내 철도 산업의 미래를 준비하는 내용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철도기술연구원 김기환 원장은 이날 토론회에 앞서 “ICT 기술과 빅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차량·선로 등 모든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철도 운영과 유지보수, 안전 대책에도 활용해 나갈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진행해나겠다”고 밝혔다.

 

▲ 개회사를 하고 있는 김기환 철도기술연구원장                                       © 국토매일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