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이 27일 조사 발표한 전국 상업용 부동산의 3분기 임대시장 동향 결과 오피스와 모든 상가 유형에서 전 분기 대비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
임대료 변동 추세를 나타내는 3분기 임대가격지수는 오피스의 경우 지난 2분기 대비 0.13% 하락했으며 상가 역시 전분기 대비 중대형과 소규모 및 집합 상가에서 각각 0.24%, 0.30%, 0.23% 낮게 나타났다.
선호도가 낮은 노후 오피스를 중심으로 임차인 유치를 위해 렌트프리 등 임대료 할인 정책을 추진한 것이 임대가격지수 하락으로 연결된 것으로 분석되며 상가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지속적인 상권침체 및 체감경기 악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의 경우에는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면서 명동 등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상권을 중심으로 침체가 지속되면서 모든 상가 유형에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
공실률은 오피스의 경우 서울 강남 테헤란로나 여의도 등 핵심 지역 오피스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전 분기 11.1% 대비 0.2% 포인트 감소한 10.9를 나타냈다.
상가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장기화에 따른 경영악화로 폐업 증가 및 신규 임차수요 감소하며 공실률이 상승했다.
중대형 상가는 전 분기 13.1% 대비 0.2% 포인트 상승한 13.3%를 나타냈으며 소규모 상가는 2분기 6.4% 대비 0.1% 포인트 오른 6.5%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오피스와 모든 상가 유형에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며 “상권별 업종분포 현황 및 변동 등 파악을 통해서 서민과 소상공인에 대한 창업지원 및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개정 등 정책 수립 지원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3개월간의 부동산 보유에 따른 투자성과를 나타내는 투자수익률도 오피스와 전 상가 유형에서 전 분기 대비 하락세를 나타냈다.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지난 2분기 2.15% 대비 0.35% 포인트 하락한 1.80%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소규모, 집합 상가도 같은 기간 투자수익률이 낮게 나타났다.
중대형 상가는 전 분기 1.75% 대비 0.18% 포인트 떨어진 1.57%를 나타냈으며 소규모 상가는 전 분기 1.56% 대비 0.18% 포인트 하락한 1.38%를 기록했다.
집합 상가는 지난 2분기 1.78%에서 0.17% 포인트 하락한 1.61%를 기록하며 코로나19로 인한 낮은 투자수익률을 보였다. <저작권자 ⓒ 국토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동산원, 상가, 오피스, 임대가격지수, 공실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