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기획] 'e-Nav'로 스마트한 해양 안전 확보

해양 안전·신산업 육성으로 해난 사고에 선제적 대응
해수부, 해양산업 4차산업혁명 통해 조선 부품산업 육성
해상에서 초연결통신망으로 선박끼리 영상통화 시대 열어

이형근 기자 | 기사입력 2021/08/20 [09:08]

[기획] 'e-Nav'로 스마트한 해양 안전 확보

해양 안전·신산업 육성으로 해난 사고에 선제적 대응
해수부, 해양산업 4차산업혁명 통해 조선 부품산업 육성
해상에서 초연결통신망으로 선박끼리 영상통화 시대 열어

이형근 기자 | 입력 : 2021/08/20 [09:08]

▲ 해양수산부는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중앙센터'에서 'e-Nav'를 도입해 선박들의 안전 운항과 현재 바다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다. (사진=이형근 기자)  © 국토매일


[국토매일=이형근 기자] LTE 통신망이 선박을 안전한 해로로 운항하도록 유도하는 ‘e-navigation(e-Nav)’ 서비스 시대로 접어들었다. 

3톤이상 선박은 3차에 걸쳐 연안 100km까지 안전 운항을 위해 기존 LTE 서비스가 기존 GPS-플로터 자리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월 30일부터 LTE-M 주파수를 활용한 ‘e-Nav’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고 어민들과 각종 서비스 사업자들에게 적극적인 단말기 보급을 실시하고 있다. 


LTE 주파수가 선박운항에 쓰인 것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지난 2006년부터 ‘e-Nav’ 도입을 제안하면서 시작됐고 2019년 6월 국제표준을 채택했다. 


IMO가 ‘e-Nav'를 채택한 배경에는 전체 해양사고의 인적과실 비율이 84%까지 높아진 만큼 사고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e-Nav’ 규격을 확정하고 실증 및 개발에 들어갔으며 유조선 및 유람선에 탑재를 권고하고 있다. 

 

IMO는 2014년 e-Nav 전략이행계획을 수립하고 2019년 서비스 표준승인 등 국제 표준화 작업을 주도한 가운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항로표지협회(IALA)가 해상무선통신 주파수 분배 및 기술기준 마련을 위한 세부 논의를 추진했다. 

 

해양수산부도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308억 원을 투자해 ‘한국형 e-Nav 구축사업’을 개시했다.

 

이 사업에 통신망 사업자는 SK텔레콤이 참여해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기지국 263곳, 송수신장비 621식) 및 전국 서비스 제공을 위한 9개 센터(중앙 1·권역 6·통신망 2) 등을 구축했다. 

 

▲ 해양수산부 문성혁 장관이 'e-Nav'의 운영상황을 점검하고 있다(사진=해양수산부).  © 국토매일

VHF 통신망과 함께 선박 안전 보장 

한국형 'e-Nav' 사업의 필요성은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해상 교통 여건에서 출발한다.

 

우리나라의 항만 및 항ㆍ포구는 각각 60곳과 2299곳이 분포되어 있고 서ㆍ남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복잡한 해상교통환경을 형성하고 있다.

또 섬 거주민들의 주요 교통수단은 161척의 연안 여객선이 하루 평균 800회 운항 중이며, 연안에 등록된 양식장과 어장은 모두 1643곳으로 운항 중 각종 사고는 재산 피해로 이어질 여지가 크다.


해양수산부는 IMO가 정의한 e-Nav 적용 대상을 국제항해선박을 포함해 어선, 위험물 운반선, 연안 여객선, 레저기구 등 연안항해선박을 포함하는 한편 LTE-M 기술로 전자해도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한국형 e-Nav의 상용화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시장, 초연결 통신, 사물인터넷 사업에 진출기반을 조성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해양수산부는 '한국형 e-Nav' 사업이 정착되면 휴먼에러 때문에 발생한 사고율을 30%까지 저감시켜서 안전한 바다를 만드는 목표와 디지털 산업의 선도 국가로 도약해 시장 선도주자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첨단해양교통관리팀 홍순배 팀장은 “e-Nav가 선박에 보급되면 차량내비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해 실시간 전자해도와 충돌 좌초, 선박 밀집도, 기상조류 등 정보 제공을 한다”면서 “구조요청시 영상연결, 선박간 핸드폰 통신방식으로 연결하게 된다”고 장점을 설명했다.


홍 팀장은 또 “VHF 주파수는 반납하지 않고 어선끼리 긴급 통신망으로 활용하고 해경이나 주변 어선과 긴급 통신, 휴먼에러 방지용으로 쓰이게 된다”고 말했다. 


한국형 ‘e-Nav’가 어선 및 3톤 이상 선박에 탑재되기까지 까다로운 실증 테스트의 고개를 넘어야 했다.

 

해수부는 PS-LTE, LTE-R, LTE-M이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일부 지적 때문에 오송역과 동해안에서 실증 사업을 거쳐 랜공유 연동체계를 구축하고 해수부 차관이 위원장으로 2027년까지 ‘국가통합 공공망 정책협의회’로 협약을 맺었다. 

 

현재 어선의 'e-Nav' 단말기 보급 사업은 수협중앙회 어선안전조업본부에서 전개하고 있다.

 

수협중앙회 어선안전조업본부 어선ICT지원과 송진교 과장은 “3톤 이상 신조어선은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했다”면서 “LTE-M 주파수로 통신하는 e-Nav는 어선 안전, 사고구조, 보호를 위해 필요하며 우수한 기능”이라고 소개했다.

 

기존 어선에 장착하던 GPS-플로트가 제거되고 ‘e-Nav’ 하나만 달리면서 선박 운항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수협중앙회는 LTE-M 주파수로 통신하는 e-Nav을 활용한 솔루션으로 조업을 나간 국내 어선의 위치를 파악하며 해경과 함께 어선의 피항 위치와 조업 현황, 선박별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어 어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수협중앙회가 어민의 실종, 사망사고에 대비해 보급하는 각종 조난위치 발신 장비. 이 장비의 보급률이 높아지면 바다에서 실종 등 사고도 낮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사진=수협중앙회)     ©국토매일

‘e-Nav’, 한국해양산업의 새 동력 될 것

해양수산부도 ‘e-Nav' 단말기 적용으로 관련 산업의 확대에 무게를 싣고 있다..

수협중앙회 윤도수 과장은 관련 시장의 대표적으로 개인위치 발생장비를 예로 들었다.

윤 과장은 “소규모 어선에서 조업하면 자기도 모르게 바다 떨어지는 사고가 많다”면서 “바다에 빠진 선원을 보호하기 위해 목걸이, 손목시계형 등 형태로 장비를 개발했다”고 선보였다.

그는 이“바다에 빠지고 버튼을 누르면 타고 있던 선박이 구조신호를 알리고 이어 주변 선박에서 신속한 대응에 들어가 사망이나 실종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장비는 시계, 목걸이, 구명조끼 부착형 등 다양한 모델의 개인위치 발생장비를 개발해 어민들에게 홍보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선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물인터넷(IoT)의 열감지 센서도 해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통신분야는 빅데이터에 기반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입체적 구조 지원에 있다.

 

현재 LTE-M 통신망이 지상과 해양을 오가지만 미래에는 초연결선박이 등장해 자율운항 선박과 함께 해사정보기반의 지능화 등으로 다양화 된 해상 정보를 활용한 산업이 확장될 전망이다.


특히 다가올 초연결 기술과 해양 디지털 기술은 세계시장을 선점할 경쟁력 있는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형식 승인과 제품 검사 기준 등 기술 기준 마련과 AI 연계ㆍ활용 서비스 개발, 해양 안전 빅데이터 활용 등 중장기 발전 전략 수립과 이행이 필요하다. 


해양수산부는 단기적으로 해양 디지털 통신, 자율운항선박, 시뮬레이션 등 주요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중장기로 지능형 해상교통서비스와 자율운행선박, 스마트 항만과 물류, 해상통신, 초연결 플랫폼 등 해양 디지털 실해역 공동시험, 검증, 인증 및 산업화 기반을 갖춘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